오리엔트 정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리엔트 정교회는 1965년 아디스아바바 회의에서 공식 명칭으로 채택되었으며, '고대 동방 교회', '비칼케돈파 교회' 등으로도 불린다. 이들은 칼케돈 공의회의 그리스도론을 거부하고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이 하나의 본성으로 결합되었다는 '미아피시테' 신학을 따른다. 오리엔트 정교회는 서로 완전한 친교를 이루지만, 동방 정교회나 다른 교회와는 친교 관계에 있지 않으며, 동방 정교회 및 로마 가톨릭교회와의 친교 회복을 위한 대화가 진행 중이다. 주로 중동과 북동아프리카에 분포하며, 콥트 정교회와 에티오피아 정교회가 큰 규모를 차지한다. 초기 기독교 시대 알렉산드리아와 안티오키아 학파의 신학적 갈등, 451년 칼케돈 공의회 결정 거부 등이 오리엔트 정교회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오리엔트 정교회는 6개의 자치 교회로 구성되며, 각 교회는 고유한 전례 언어와 의식을 가지고 있다. 신학적으로는 에큐메니컬 공의회를 인정하고, 그리스도론에서 칼케돈 신조를 거부하는 차이점을 보인다. 오리엔트 정교회 내에는 내부 분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아시리아 동방 교회와 혼동되는 경우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리엔트 정교회 - 칼케돈 공의회
칼케돈 공의회는 에우티케스의 단성론 논쟁 해결을 위해 451년에 소집된 제4차 전례 공의회로,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동시에 지닌 단일 인격이라는 칼케돈 신조를 채택하여 두 본성의 불가분리성을 천명했으나, 일부 동방 교회의 거부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주교의 지위 상승으로 기독교 분열과 로마 교황청과의 갈등을 야기했다. - 오리엔트 정교회 - 제온 (예배식)
제온은 정교회 예배에서 포도주에 뜨거운 물을 섞는 의식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형 당시 흘러나온 물과 신성을 상징하며, 슬라브와 그리스 관습에 따라 형태와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다.
오리엔트 정교회 | |
---|---|
개요 | |
![]() | |
![]() | |
![]() | |
![]() | |
![]() | |
![]() | |
일반 정보 | |
분류 | 칼케돈 공의회 반대 |
방향 | 동방 기독교 |
신학 | 오리엔트 정교회 신학 |
정치 체제 | 주교제 |
구조 | 친교 |
분열 유형 | 독립 교회 |
독립 교회 | 시리아 정교회 콥트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에티오피아 정교회 에리트레아 정교회 인도 정교회 |
언어 | 콥트어 고전 시리아어 게즈어 고전 아르메니아어 말라얄람어 코이네 그리스어 지역 언어 |
전례 | 알렉산드리아 전례 서시리아 전례 아르메니아 전례 |
기원 | 예수 그리스도, 신성한 전통에 따름 |
분기 | 로마 제국의 국교 |
신자 수 | 5천만 명 |
다른 이름 | 오리엔트 정교회 미아피지트 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친교 |
2. 명칭 및 특징
오리엔트 정교회는 '고대 동방 교회', '비칼케돈파 교회', '미아피시테 교회'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13] 이들은 451년 칼케돈 공의회의 그리스도론을 거부하고,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이 하나의 본성으로 결합되었다는 '미아피시테' 신학을 따른다.
동방 정교회와 많은 신학과 교회론적 전통을 공유하지만, 완전한 친교 관계는 아니다.[34]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 교회와는 다르게, 세계 교회 협의회(WCC)의 회원이다.[19]
오리엔트 정교회에 속하는 교회는 다음과 같다.
- 시리아 정교회: 사도 토마스 이래 인도의 기독교 교회들 중 가장 오래된 집단들도 포함된다.
- 이집트 콥트 교회: 알렉산드리아 전례 문화를 바탕으로 독자적인 콥트어 전례를 사용한다.
-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313년 최초로 국교 지위를 받았다. 6세기 드진 공의회에서 칼케돈 신조를 이단으로 규정하였다.
-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게즈어로 "하나로 만들어진, 통일된"이라는 뜻의 "테와히도"라는 말은 그리스도의 본성이 하나라는 그들의 믿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 인도의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 에리트레아의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이 교회들은 아디스아바바 회의(1965년)에서 "오리엔트 정교회"라는 명칭을 공식 채택했다.
오리엔트 정교회는 로마 제국 국교 시대의 최초 세 차례의 에큐메니컬 공의회만 인정한다.
-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
- 381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431년: 에페소스 공의회
로마 가톨릭교회와 같은 교황적 지도자는 없으며, 동방 정교회처럼 에큐메니컬 시노드를 소집할 수 있는 지도자도 없다.
사회적으로 보수적인 경향이 강하며, 여성 성직자를 인정하지 않는다.
3. 역사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그리스도의 인성은 신성에 흡수되었으며 그리스도는 완전한 하느님이시다"라는 소위 단성론 신학이 단죄되었다. 그러나 오리엔트 정교회는 비칼케돈파이면서 동시에 단성론을 이단으로 취급한다. 이들은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가 옹호한 "성육신한 로고스의 한 본성"[20]이라는 공식을 따르며, 자신들을 "미아피시테"라고 부르는 것을 선호한다.
칼케돈 공의회 이후, 동로마 제국 내에서는 칼케돈파와 비칼케돈파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비잔틴 제국의 황제들은 종종 칼케돈 신조를 강요했고, 이는 비칼케돈파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칼케돈 신조를 강요하고 비칼케돈파를 탄압하기도 했다.
7세기 이후, 이슬람 세력이 중동 지역을 장악하면서 오리엔트 정교회는 이슬람 통치 하에 놓이게 되었다. 오리엔트 정교회는 이슬람 사회에서 딤미(보호받는 소수 종교 집단)의 지위를 부여받았지만, 차별과 박해를 받기도 했다.[1]
11세기 말, 서유럽의 십자군이 중동 지역에 진출하면서 오리엔트 정교회는 서방 교회와 접촉하게 되었다. 십자군은 오리엔트 정교회를 이단으로 간주하고, 때로는 폭력적으로 대하기도 했다.
20세기에는 에큐메니컬 운동의 영향으로 다른 기독교 교파들과의 대화가 재개되었고, 특히 로마 가톨릭 교회와의 관계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1984년 시리아 총대주교 마르 이그나티우스 자카 1세 이와스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공동 성명을 통해 화해를 선언했다.[22] 이들은 두 교회의 분열이 신앙의 본질적인 차이가 아니라, 용어와 문화의 차이 등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보았다.
하지만, 교황 세누다 3세와 같은 일부 오리엔트 정교회는 칼케돈파 교회에 대해 여전히 회의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23]
현재 칼케돈파 교회(성공회, 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 교회, 개신교)와 신학적 대화가 활발히 이루어져 칼케돈-비 칼케돈 교회들 사이에서 많은 분야의 교류가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완벽한 성사교류가 이뤄지지는 않고 있으며 일부가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 교회, 심지어 개신교로 귀일하는 경우는 있다.
오리엔트 정교회의 주요 교회는 다음과 같다.
교회명 | 수장 | 특징 | 분포 지역 |
---|---|---|---|
시리아 정교회 | 안티오키아와 전 중근동의 총대주교 | 합성론 신학 발전, 사도 토마스 이래 인도 기독교 교회 중 가장 오래된 집단 | 시리아, 튀르키예, 이라크, 인도 등 |
이집트 콥트교회 | 알렉산드리아와 전 아프리카의 총대주교 (교황) | 고대 이집트 전통 보존, 콥트어 사용, 알렉산드리아 전례 | 이집트, 영국, 프랑스 등 |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 카톨리코스 | 70인 사도 성 타대오 선교, 313년 최초 국교, 6세기 드진 공의회에서 칼케돈 신조 이단 규정 | 아르메니아, 튀르키예, 레바논, 이란 등 |
에티오피아 테와흐도 정교회 | 에티오피아의 총대주교 | "테와히도"(게즈어로 "하나로 만들어진, 통일된"), 에티오피아 제국 국교, 독특한 교회 문화와 게즈어 보존 | 에티오피아 |
에리트레아 테와흐도 정교회 | 에티오피아 정교회에서 독립 | 에리트레아 | |
인도의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 인도 남부 말라바르 해안 |
이들은 모두 완벽한 성사교류와 교회일치를 이루고 있으며, 그리스도론을 위시로 신앙의 일치를 이룬 네 개의 교회는 서로간의 활발한 교류가 벌어지고 있으며 교회 수장 착좌식에 서로 대표단을 파견하여 주교 안수 때 참석하기도 한다.
3. 1. 칼케돈 공의회 이전
동방 정교회를 이끌 지도자들에게 그리스도를 "두 본성 안에 있는 한 인격"으로 묘사하는 것은 네스토리우스주의를 받아들이는 것과 같았다. 네스토리우스주의는 그리스도를 인간적 본성과 신성한 본성으로, 각각 다른 행위와 경험을 가진 두 개의 분리된 본성으로 보는 것이었다. 반면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는 "성육신한 로고스의 한 본성"[20]이라는 공식을 옹호했다.동방 정교회는 종종 "단성론"이라고 불렸지만, 유티케스주의 단성론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이 명칭을 거부한다. 그들은 "미아피시테"라는 용어를 선호한다.
칼케돈 공의회 이후 몇 년 동안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들은 비칼케돈파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및 안티오크 총대주교와 간헐적으로 교류를 유지했으며, 로마는 후자와의 교류를 끊고 콘스탄티노폴리스와 불안정한 교류를 유지했다. 518년에 이르러 비잔틴 제국의 새로운 황제 유스티누스 1세가 로마 제국의 교회가 공의회의 결정을 받아들일 것을 요구했다.[21]
- 시리아 정교회: 사도 시대의 안티오키아 교회로부터의 계승을 칼케돈파 정교회와 마찬가지로 자각하고 있다. 시리아어와 아랍어를 전례에 사용한다. '''야곱파'''라는 이칭이 있지만, '''야코보스 바라다이오스'''의 업적을 시리아 정교회 스스로도 존중하지만, 이 이칭은 멸칭으로서의 경향을 띠고 있어, 시리아 정교회 스스로가 사용하는 일은 없다. 주로 시리아, 튀르키예에 분포한다. 수좌 주교는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이며, 그리스 정교 계열의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와 병립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 관할 범위는 시리아 한 국가에 머무르지 않고 이라크 등에도 미치며, 서구에도 이민을 통해 널리 퍼져나가고 있다. 또한 역사적 경위로 인해 인도 정교회도 산하에 있다.
-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아르메니아 정교회): 301년, 아르메니아 왕국이 세계 최초로 기독교를 국교로 삼은 데서 시작된다. 주로 아르메니아, 튀르키예에 분포하며, 미국에도 많다. 동방 가톨릭 교회인 아르메니아 전례 가톨릭 교회와는 별개의 교회이다.
- 콥트 정교회: "콥트"는 이집트의 옛 이름이다. 콥트어와 아랍어로 전례를 거행한다. 주로 이집트에 분포하지만, 해외 이민을 통해 이집트 외(영국, 프랑스 등)에도 확산되고 있다. 수좌 주교인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는 교황의 칭호를 옛날부터 보유하고 있으며, "파파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나 "콥트 교황" 등으로 불린다. 그리스 정교 계열의 정교회에도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가 있으며, 이것과 병립하는 상태는, 위에 언급한 대로 병립하여 존재하는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와 상황이 비슷하다.
- 에티오피아 정교회: 에티오피아 정교회는 사하라 이남에서 유일하게, 식민지 시대 이전부터 존재하는 교회이다. 악숨 왕국은 콥트(이집트)로부터 기독교를 받아들여 국교로 삼았고, 에티오피아 제국 시대까지 국교로 유지되었다. 1959년에 독립 교회가 되기 전까지는 콥트 정교회의 일부였으나, 현재 비칼케돈파 정교회 중에서는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독특한 형태를 가진, 정교하게 조각된 십자가가 사용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에티오피아 십자가는 다양한 수입 잡화점 등에서 취급되고 있다.
- 에리트레아 정교회: 에리트레아 독립에 따라, 위 에티오피아 정교회로부터 독립하여 성립된 교회.
- 인도 정교회: 남인도의 말라바르 해안 일대에 분포한다.
3. 2. 칼케돈 공의회 (451년)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는 "성육신한 로고스의 한 본성"[20] (혹은 "말씀의 한 성육신한 본성"[21])이라는 공식을 옹호했다. 동방 정교회를 이끌 지도자들에게 있어, 그리스도를 "두 본성 안에 있는 한 인격"으로 묘사하는 것은 네스토리우스주의를 받아들이는 것과 같았다. 네스토리우스주의는 그리스도를 인간적 본성과 신성한 본성으로, 각각 다른 행위와 경험을 가진 두 개의 분리된 본성으로 보는 것으로 이해되었다.동방 정교회는 종종 "단성론"이라고 불렸지만, 유티케스주의 단성론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이 명칭을 거부한다. 그들은 "미아피시테"라는 용어를 선호한다.
칼케돈 공의회 이후 몇 년 동안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들은 비(非)칼케돈파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및 안티오크 총대주교와 간헐적으로 교류를 유지했으며 (헤노티콘 참조), 로마는 후자와의 교류를 끊고 콘스탄티노폴리스와 불안정한 교류를 유지했다. 518년에 이르러 비잔틴 제국의 새로운 황제 유스티누스 1세 (칼케돈을 수용)가 로마 제국의 교회가 공의회의 결정을 받아들일 것을 요구했다.
3. 3. 칼케돈 공의회 이후
칼케돈 공의회 이후, 동로마 제국 내에서 칼케돈파와 비칼케돈파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비잔틴 제국의 황제들은 종종 칼케돈 신조를 강요했고, 이는 비칼케돈파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6세기,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칼케돈 신조를 강요하고 비칼케돈파를 탄압했다.3. 4. 이슬람 시대
7세기 이후, 이슬람 세력이 중동 지역을 장악하면서 오리엔트 정교회는 이슬람 통치 하에 놓이게 되었다. 오리엔트 정교회는 이슬람 사회에서 딤미(보호받는 소수 종교 집단)의 지위를 부여받았지만, 차별과 박해를 받기도 했다.[1]3. 5. 십자군 시대
11세기 말, 서유럽의 십자군이 중동 지역에 진출하면서 오리엔트 정교회는 서방 교회와 접촉하게 되었다. 십자군은 오리엔트 정교회를 이단으로 간주하고, 때로는 폭력적으로 대하기도 했다.3. 6. 근현대
20세기에는 에큐메니컬 대화가 증가했고, 교황청과 오리엔트 정교회 당국 간의 여러 회의가 열렸다. 1984년 시리아 총대주교 마르 이그나티우스 자카 1세 이와스와 로마의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공동 성명을 통해 화해를 선언했다.[22]두 교회의 분열은 신앙의 본질적인 차이가 아니라, 용어와 문화의 차이, 그리고 다양한 신학 학파가 같은 문제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 다양한 공식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칼케돈 공의회 시대에 발생한 교리 해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양측은 그리스도에 관한 진정한 교리를 고백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22]
그러나 에큐메니컬 대화에서 진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교황 세누다 3세와 같은 많은 오리엔트 정교회 당국은 칼케돈파 교회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유지하며, 그들의 기독론을 네스토리우스주의로 계속 간주했다.[23]
4. 교파
오리엔트 정교회는 행정적으로 독립된 6개의 자치 교회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교회들은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단죄받은 단성론 신학을 받아들였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단성론을 이단으로 취급하는 교회도 많다.
현재는 성공회, 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 교회, 개신교 등 칼케돈파 교회와 신학적 대화를 활발히 진행하며 교류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완전한 성사 교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일부 신자들이 동방 정교회나 가톨릭 교회, 개신교로 옮겨가는 경우도 있다.
이들 교회의 본고장은 아르메니아, 에티오피아를 제외하면 대부분 이슬람교가 우세한 지역이라 사회에서 소수자로 여겨지고 있다.
오리엔트 정교회를 구성하는 6개 교회는 다음과 같다.
전례 | 교회 | 수장 | 특징 |
---|---|---|---|
알렉산드리아 전례 | 이집트 콥트 교회 | 알렉산드리아와 전 아프리카의 총대주교 | 고대 이집트 교회의 전통을 많이 간직하고 있으며, 콥트어는 고대 이집트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교황이라는 직함을 사용하며, 독자적인 콥트어 전례를 사용한다. |
알렉산드리아 전례 |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 70인 사도 중 성 타대오 | 313년 최초로 국교 지위를 받았다. 6세기 드진 공의회에서 칼케돈 신조를 이단으로 규정하였다. |
알렉산드리아 전례 |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 에티오피아의 총대주교 | "테와히도"는 "하나로 만들어진, 통일된"이라는 뜻의 게즈어로 그리스도의 본성이 하나라는 믿음을 상징한다. 에티오피아 제국에서 국교였으며 황실과도 깊은 연관을 맺었다. 현재 에티오피아 인구의 절반 가까이가 신도이며, 독특한 교회 문화와 사어가 된 게즈어를 보존하고 있다. |
시리아-안티오키아 전례 | 시리아 정교회 | 안티오키아와 전 중근동의 총대주교 | 합성론 신학을 크게 발전시킨 사제 "야코부스 바라데스"의 이름을 따서 "야코부스 교회(Jacobite Church)"라고 불렸으나, 현재는 이 명칭을 사용하지 않는다. 서 시리아 전례를 사용한다. |
시리아-안티오키아 전례 | 인도의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 - | 사도 토마스 이래 뿌리를 내려 온 인도의 기독교 교회들 중 가장 오래된 집단이다. |
알렉산드리아 전례 |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 - | - |
이 교회들은 모두 완전한 성사 교류와 교회 일치를 이루고 있는 하나의 지체(Communion)를 이루고 있어, 동방 정교회와 거의 비슷한 체제를 이루고 있다. 그리스도론을 중심으로 신앙의 일치를 이룬 교회들은 서로 활발하게 교류하며, 교회 수장 착좌식에 서로 대표단을 파견하여 주교 안수 때 참석하기도 한다.
4. 1. 알렉산드리아 전례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는 이집트를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콥트어와 아랍어를 전례에 사용한다.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는 교황 칭호를 보유하고 있으며, "파파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나 "콥트 교황" 등으로 불린다.[24] 이집트 외에도 영국, 프랑스 등 해외 이민을 통해 확산되고 있다.에티오피아 정교회는 악숨 왕국이 콥트(이집트)로부터 기독교를 받아들여 국교로 삼은 것에서 기원하며, 에티오피아 제국 시대까지 국교로 유지되었다. 1959년 콥트 정교회에서 독립하기 전까지 콥트 정교회의 일부였으나, 현재 비칼케돈파 정교회 중에서는 최대 규모이다.
에리트레아 정교회는 에리트레아 독립에 따라 에티오피아 정교회로부터 독립하여 성립된 교회이다.
4. 2. 시리아-안티오키아 전례
시리아 정교회는 안티오키아 교회로부터 계승되었다고 여겨지며, 시리아어와 아랍어를 전례에 사용한다. '야곱파'라는 별칭으로도 불리지만, 이는 멸칭으로 여겨져 시리아 정교회 스스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주로 시리아와 튀르키예에 분포하며, 수좌 주교는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이다. 그리스 정교회 계열의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와 병립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관할 범위는 이라크 등과 서구에도 미친다. 역사적 배경으로 인도 정교회도 산하에 두고 있다.[24] 인도 정교회는 남인도의 말라바르 해안 일대에 분포한다.4. 3. 아르메니아 전례
301년, 아르메니아 왕국이 세계 최초로 기독교를 국교로 삼은 데서 아르메니아 정교회의 역사가 시작된다.[24]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는 주로 아르메니아, 튀르키예에 분포하며, 미국에도 신자가 많다. 동방 가톨릭 교회에 속하는 아르메니아 가톨릭교회와는 별개의 교회이다.5. 신학 및 교회론
오리엔트 정교회는 동방 정교회와 많은 신학 및 교회론적 전통을 공유한다. 여기에는 테오토코스에 대한 존경과, 니케아 신경을 사용한다는 점 등이 포함된다.[34]
두 교단 간의 주요 신학적 차이점은 서로 다른 그리스도론에 있다. 오리엔트 정교회는 칼케돈 신조를 거부하고 미아피시테 공식을 채택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인성과 신성이 하나의 성육신된 본성으로 결합되었다고 믿는다. 역사적으로, 오리엔트 정교회의 초기 주교들은 칼케돈 신조가 삼위일체에 대한 부인이나 네스토리우스주의에 대한 양보를 암시한다고 생각했다.
로마 제국과 오리엔트 정교회 간의 성찬식 단절은 갑자기 일어난 것이 아니라 칼케돈 공의회 이후 2~3세기에 걸쳐 점차적으로 일어났다.[35] 결국 두 교단은 별도의 기관을 발전시켰고, 오리엔트 정교회는 이후의 어떤 에큐메니컬 공의회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오리엔트 정교회는 고대 사도 계승과 역사적 주교직을 유지한다. 다양한 교회는 성 시노드에 의해 통치되며, primus inter paresla 주교가 수위 주교로 섬긴다. 수위 주교는 총대주교, 카톨리코스, 교황과 같은 직함을 갖는다.
오리엔트 정교회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같은 교황적 지도자는 없으며, 동방 정교회처럼 에큐메니컬 시노드를 소집할 수 있는 지도자도 없다. 한편, 그들의 에큐메니컬 대화와 내부 교회 관계는 오리엔트 정교회 상임 회의가 주도하며, 이 회의는 회원 교회의 영구 대표 위원회 역할을 한다.
오리엔트 정교회와 칼케돈 기독교 신봉자들 사이의 분열은 그리스도론의 차이점에 기인했다. 325년의 제1차 니케아 공의회는 예수 그리스도가 하느님이며, 즉 아버지와 "동일 본질"이라고 선언했다. 이후, 제3차 세계 공의회인 에페소스 공의회는 예수 그리스도가 신성이자 인성을 지니면서도 단 하나의 존재, 즉 인격(위격)이라고 선언했다. 따라서 에페소스 공의회는 그리스도가 두 개의 뚜렷한 인격, 즉 하나의 신성(로고스)과 하나의 인간(예수)으로, 우연히 같은 몸 안에 거한다고 주장하는 그리스도론인 네스토리우스주의를 명시적으로 거부했다.
451년 칼케돈 공의회는 예수 그리스도가 단일 인격이라는 견해를 재확인했지만, 동시에 이 단일 인격이 인간적 본성과 신성적 본성, "두 완전한 본성 안에서" 존재한다고 선언했다.
칼케돈 기독교인들은 때때로 오리엔트 정교회를 단성론자라고 지칭하며, 즉 예수 그리스도가 전혀 인간이 아니라 오직 신성하다고 주장한 유티케스의 가르침을 따른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오리엔트 정교회는 이러한 설명을 부정확하다고 거부하며, 네스토리우스와 유티케스 둘 다의 가르침을 공식적으로 정죄했다. 그들은 스스로를 미아피시테라고 정의하며, 그리스도가 하나의 본성을 가지고 있지만, 이 본성은 인간적이며 신성하다고 주장한다.
6. 예배 및 성사
콥트 정교회, 시리아 정교회, 인도 정교회와 같은 오리엔트 정교회 신자들은 예수 재림을 기대하며 동쪽인 예루살렘을 향해 하루에 일곱 번 정시 기도를 드린다. 이때 기도서인 아그페야와 셰히모를 각각 사용한다. 이러한 기독교 관습은 예언자 다윗이 하루에 일곱 번 하느님께 기도하는 תְּהִלִּים|테힐림he 119장 164절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36]
기도하기 전에, 그들은 하느님 앞에 깨끗한 모습으로 최선을 다하기 위해 손과 얼굴을 씻는다. 신성한 하느님 앞에서 기도하고 있음을 인정하기 위해 신발을 벗는다.[37][38] 이 기독교 전통에서 여성은 기도할 때 기독교식 머리 수건을 쓰는 것이 관례이다.[39]
콥트 정교회, 에티오피아 정교회, 에리트레아 정교회와 같은 일부 오리엔트 정교회는 다른 기독교 교파보다 구약성경의 가르침을 더 강조한다. 이들 신자들은 유대교의 코셔와 유사한 기독교 식단 규율을 따르고,[40] 남성 신도는 할례를 받아야 하며,[41] 정결 의식을 지킨다.[42][43] 또한 페쉬타, 콥트어 성경 번역, 테와히도 정교 성경 목록, 아르메니아 성경 번역을 포함한 다양한 성경 목록을 유지한다.
7. 한국과의 관계
오리엔트 정교회는 한국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일부 교회가 한국에 진출하여 활동하고 있다. 2013년 콥트 정교회는 경기도 양평군에 수도원을 설립하고 한국인 성직자를 임명했다. 아르메니아 사도교회는 서울에 교회를 설립하고, 아르메니아인 공동체를 위한 사목 활동을 펼치고 있다.
8. 내부 분쟁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내에서는 에치미아진 총대주교좌와 킬리키아 대총대주교좌 사이의 분쟁이 있다. 두 총대주교좌 간의 분열은 소련 시대에 심화되었다. 에치미아진 총대주교좌는 일부 서방 주교와 성직자들에게 공산주의의 포로로 여겨졌다. 이 의견에 동조하는 사람들은 에치미아진으로부터 독립된 교회를 설립하고, 레바논 안텔리아스에 기반을 둔 킬리키아 총대주교좌에 충성을 맹세했다. 1956년 킬리키아 총대주교좌가 에치미아진 총대주교좌로부터 분리되면서 분열은 공식화되었다.
1992년, 아부네 메르코리오스의 퇴위와 아부네 파울로스의 선출 이후, 미국 내 일부 에티오피아 정교회 주교들은 새 선출이 무효라고 주장하며 아디스아바바 행정부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별도의 시노드를 형성했다.[44] 2018년 7월 27일, 두 시노드의 대표들은 합의에 도달했다. 합의 조건에 따라 아부네 메르코리오스는 아부네 마티아스(아부네 파울로스의 후임)와 함께 총대주교로 복귀했으며, 아부네 마티아스는 행정 업무를 계속 담당하기로 했다. 또한 두 시노드는 하나의 시노드로 통합되었으며, 그들 사이의 모든 파문은 해제되었다.[45][46]
인도의 오리엔트 정교회 신자들은 말란카라 정교 시리아 교회와 야코브 시리아 기독교 교회로 나뉜다. 두 교회는 1912년 이전과 1958년 이후에 연합했으나, 1975년에 다시 분리되었다. 말란카라 정교 시리아 교회는 인도 정교회라고도 불리며, 자율 교회이다. 이 교회는 동방의 카톨리코스 및 말란카라 관구장이 수장으로 있다. 야코브 시리아 기독교 교회는 인도의 시리아 정교회의 자율 마프리안이다.
말라바 독립 시리아 교회 또한 오리엔트 정교 전통을 따르지만, 다른 오리엔트 정교 교회와는 교류하지 않는다.
9. 혼동되는 경우
아시리아 동방 교회는 종종 오리엔트 정교회로 오인되기도 한다.[47][48][49] 그러나 이 교회는 네스토리우스파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칼케돈 공의회 이전부터 분리된 별개의 교파이다. 역사적으로 동방 교회는 대이란의 교회였으며, 로마 제국 국교회와 424~427년에 분리되었는데, 이는 에페소스 공의회와 칼케돈 공의회보다 수년 전의 일이다. 신학적으로 동방 교회는 네스토리우스주의 교리에 속해 있었으며, 431년 네스토리우스주의를 이단으로 선언한 에페소스 공의회를 거부했다. 오리엔트 정교회 교회의 그리스도론은 사실 그리스도의 인성과 신성의 구별을 강조하는 네스토리우스주의 그리스도론에 대한 반발로 발전했다.
참조
[1]
웹사이트
Orthodox Christian Churches
https://pluralism.or[...]
2020-11-25
[2]
웹사이트
Oriental Orthodoxy « Western Prelacy
http://westernprelac[...]
2020-11-25
[3]
서적
Encyclopedia of Christianity in the Global South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8
[4]
간행물
Orthodox Christianity in the 21st Century
https://www.pewforum[...]
2017-11-08
[5]
웹사이트
Orthodox churches (Oriental) — World Council of Churches
https://www.oikoumen[...]
[6]
웹사이트
Dicastery For Promoting Christian Unity
http://www.christian[...]
Dicastery For Promoting Christian Unity
2024-06-24
[7]
웹사이트
Orthodox churches (Oriental) — World Council of Churches
https://www.oikoumen[...]
[8]
서적
The Syriac World
Routledge
[9]
뉴스
The Fading Light: Christianity's Struggle in its Middle Eastern Birthplace
https://www.riotimes[...]
2024-11-16
[10]
뉴스
Is this the end for Mideast Christianity?
https://magazine.web[...]
2024-11-15
[11]
웹사이트
Oriental Orthodox Churches {{!}} World Council of Churches
https://www.oikoumen[...]
2024-11-16
[12]
웹사이트
Orthodox Christianity in the 21st Century
https://www.pewresea[...]
2024-11-16
[13]
웹사이트
Ut Unum Sint: On commitment to Ecumenism
https://www.vatican.[...]
2023-02-12
[14]
웹사이트
Joint Commission, First Agreed Statement
https://orthodoxjoin[...]
2024-02-15
[15]
웹사이트
Middle Eastern Oriental Orthodox Common Declaration – March 17, 2001
https://syriacorthod[...]
[16]
웹사이트
Dialogue with the Assyrian Church of the East and its Effect on the Dialogue with the Roman Catholic
http://lacopts.org/s[...]
2016-06-02
[17]
웹사이트
Apostolic Journey to Egypt: Courtesy visit to H.H. Pope Tawadros II (Coptic Orthodox Patriarchate, Cairo – 28 April 2017) {{pipe}} Francis
https://www.vatican.[...]
[18]
웹사이트
Agreed on baptism in Germany
https://www.churchti[...]
2019-01-08
[19]
서적
Oriental Orthodox-Roman Catholic Interchurch Marriages: And Other Pastoral Relationships
USCCB Publishing
1995
[20]
웹사이트
NATURE OF CHRIST
http://www.copticchu[...]
St. Mark Coptic Orthodox Church
2014-11-30
[21]
웹사이트
From His Second Book Against the Words of Theodore
http://www.tertullia[...]
2014-11-30
[22]
웹사이트
Common declaration of Pope John Paul II and His Holiness Moran Mar Ignatius Zakka I Iwas, Patriarch of Antioch and All the East (June 23, 1984) {{pipe}} John Paul II
http://www.vatican.v[...]
[23]
웹사이트
NATURE OF CHRIST
http://www.copticchu[...]
St. Mark Coptic Orthodox Church
2014-11-30
[24]
웹사이트
Member Churches – SCOOCH
http://www.scooch.or[...]
2022-04-21
[25]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Thomson Gale
[26]
문서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on the Nagorno-Karabakh conflict
[27]
웹사이트
Statement of the Co-Chairs of the OSCE Minsk Group
http://www.osce.org/[...]
OSCE
2011-06-25
[28]
웹사이트
Ethiopia – Religion
https://www.britanni[...]
2019-10-25
[29]
웹사이트
Eritrea – Religion
https://www.britanni[...]
2019-10-25
[30]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Egypt
https://www.cia.gov/[...]
CIA
2010-10-07
[31]
웹사이트
Church in India – Syrian Orthodox Church of India – Roman Catholic Church – Protestant Churches in India
https://web.archive.[...]
Syrianchurch.org
2013-10-14
[32]
뉴스
Foreign Ministry: 89,000 minorities live in Turkey
https://web.archive.[...]
2011-05-16
[33]
웹사이트
A Look At Iran's Christian Minority
http://www.payvand.c[...]
2012-03-21
[34]
웹사이트
The Transfiguration: Our Past and Our Future
http://lacopts.org/s[...]
[35]
웹사이트
Chalcedonians
http://www.thefreedi[...]
2016-06-11
[36]
웹사이트
Prayers of the Church
https://www.ethiopia[...]
Ethiopian Orthodox Tewahedo Church
2020-07-25
[37]
서적
A Sketch of Egyptian History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Methuen
1906
[38]
웹사이트
Did you know Muslims pray in a similar way to some Christians?
https://aleteia.org/[...]
Aleteia
2017-10-16
[39]
웹사이트
Wait, I thought that was a Muslim thing?!
https://www.commonwe[...]
Commonweal
2014-02-13
[40]
서적
Africana: The Encyclopedia of the African and African American Experie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41]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the Modern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42]
서적
Water: A Spiritual History
Bloomsbury Publishing
2012-11-02
[43]
서적
Judged by the Law of Freedom: A History of the Faith-works Controversy, and a Resolution in the Thought of St. Thomas Aquina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44]
뉴스
U.S. Branch Leaves Ethiopian Orthodox Church
https://www.nytimes.[...]
2016-04-29
[45]
뉴스
Decades-Old Schism in the Ethiopian Church Mended
https://web.archive.[...]
2018-08-08
[46]
웹사이트
Ethiopian Orthodox Unity Declaration Document in English
http://theorthodoxch[...]
2018-08-08
[47]
웹사이트
Die orthodoxen Kirchen von 1274 bis 1700
https://www.eva-leip[...]
2023-02-12
[48]
문서
Konfessionskunde
[49]
간행물
Orientalische orthodoxe Nationalkirchen
https://de.wikisourc[...]
Mohr-Siebeck
[50]
웹사이트
東方キリスト教会について
http://pweb.cc.sophi[...]
[51]
웹사이트
churches_divided
http://anglican.jp/n[...]
[52]
웹사이트
WCC中央委員に日本から西原廉太氏
http://www.christi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